컴퓨터 자료

[스크랩] CMOS 셋업 및 제조사별 분류

다람쥐3 2014. 10. 13. 23:08

 

바이오스별 분류

 

바이오스 제조사
사용 키보드
ALR Advanced Logic Research, Inc. � PC / PCI
F2
ALR PC non / PCI
CTRL+ALT+ESC
AMDAdvanced Micro Devices, Inc. ) BIOS
F1
AMI American Megatrends, Inc. ) BIOS
DEL
Award™ BIOS
CTRL+ALT+ESC
Award BIOS
DEL
DTK� (Datatech Enterprises Co.) BIOS
ESC
Phoenix™ BIOS
CTRL+ALT+ESC
Phoenix BIOS
CTRL+ALT+S
Phoenix BIOS

CTRL+ALT+INS

 

 


컴퓨터 제조사별 분류

 

컴퓨터 제조사
사용 키보드
삼성
F2
엘지
DEL
Acer�
F1, F2, CTRL+ALT+ESC
ARI�
CTRL+ALT+ESC, CTRL+ALT+DEL
AST� 
CTRL+ALT+ESC, CTRL+ALT+DEL
Compaq� 8700 
F10
CompUSA�
DEL
Cybermax� 
ESC
Dell� 400
F3
Dell 400
F1
Dell Dimension�
F2 or DEL
Dell Inspiron� 
F2
Dell Latitude
Fn+F1 (부팅시)
Dell Latitude
F2 (부팅시)
Dell Optiplex
DEL
Dell Optiplex
F2
Dell Precision™
F2
Gateway� 2000 1440
F1
Gateway 2000 Solo™
F2
HP� (Hewlett-Packard)
F1, F2
IBM�
F1
IBM E-pro Laptop
F2
IBM PS/2�
CTRL+ALT+INS후CTRL+ALT+DEL
IBM Thinkpad� (노트북)
윈도우 프로그램-Thinkpad CFG
Intel� Tangent
DEL
Micron�
F1, F2, or DEL
Packard Bell� 
F1, F2, Del
Seanix
DEL
Sony� VAIO
F2
Sony VAIO
F3
Tiger
DEL
Toshiba� 335 CDS
ESC
Toshiba Protege
ESC
Toshiba Satellite 205 CDS
F1
Toshiba Tecra
F1 or ESC
 

 

 

 

바이오스(COMS) 셋업하기 (펜티엄 4)

▶바이오스(COMS) P4
바이오스(bios 또는 FirmWare 라고함), COM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 바이오스
전원을 제공하지 않아도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를 롬(ROM)이라고 하는데 이 롬에 하드웨어를 소프트웨어가 제어할수 있도록하는 기본적인 내용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을 바이오스라고 합니다. 이곳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바이오스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 COMS셋업
바이오스의 기능을 우리가 임의대로 조작할수 있도록 한 것이 CMOS 셋업입니다. 실제로 바이오스의 내용이 변경되지는 않지만 기능상으로는 우리가 조작한대로 동작하게 되며 이 내용은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면 모두 지워지게 됩니다. 그래서 컴퓨터 보드에는 시계약과 같은 건전지가 들어있습니다. 이 건전지를 제거하면 우리가 변경한 내용은 모두 지워져 bios 초기 상태가 됩니다.

[참고]
일반적으로는 bios프로그램은 변경시킬수가 없지만 보드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bios를 업그레이드 시킬수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으로 변경한 내용은 전원을 제공지 않아도 지워지지 않습니다. 그러니깐 롬을 다시 쓰는 것이며 바이오스 업그레이드라고 합니다.

[참고]
바이오스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AWARD바이오스, 피닉스 바이오스, 아미 바이오스 등등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바이오스는 AWARD바이오스이며 노트북은 피닉스 바이오스를 많이 사용하며 대기업 컴퓨터들은 아미 바이오스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내용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하나를 알면 나머지도 이해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AWARD바이오스에 대해서 설명할겁니다.

[참고]
COMS셋업화면 내용은 바이오스 버전에 따라 약간씩 다르지만 잘 비교해보면 비슷하므로 이것만 잘 보면 도움이 될겁니다.

☆어워드(AWARD) 바이오스의 COMS셋업 들어가기
어워드 바이오스는 컴퓨터 부팅시 PRESS (DEL) ENTER SETUP 메시지가 뜰때 DEL키를 누르면 COMS셋업 화면으로 들어가게 된다.

☆첫화면에서 Standard COMS Features로 들어간 화면
-다음 화면으로 들어갈려면 Enter입니다.
-F1 버튼은 도움말을 보여줍니다.
-Esc 버튼을 누르면 현재 화면을 빠져 나옵니다.
▶ 시간설정
Date,Time이라고 되어있는 곳에서는 시간과 날자를 설정 합니다. 이곳에서 바뀐 시간 정보는 OS에서 그대로 적용 됩니다.

▶ 하드디스크 설정
이곳에서는 4개의 IDE장치를 설정합니다. IDE 하드 4개를 달수가 있지만 보통 CDF롬도 IDE 장치를 사용하므로 4곳에다 하드를 연결할 수는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보통 Auto로 맞추어 �으면 자동으로 설치된 IDE 장치들을 잡아 주무로 더 이상 만질필요는 없습니다. Enter을 치고 들어가면 자세한 설정이 가능합니다.

▶ Drive A, Drive B
자신이 설치한 드라이브 용량을 선택합니다. 지금은 거의 대부분이 Drive A→1.44M, 3.5in 그리고 Drive A→None
▶ Video
모니터로 출력되는 그래픽 신호 EGA, VGA, CGA, MONO를 선택합니다.

▶ Halt On
부팅중 발생하는 에러에 대해서 컴퓨터가 어떻게 할것인지를 결정합니다.
-All Errors : 부팅중에 에러가 발생하면 무조건 시스템을 정지한다.
-No Errors : 부팅중에 에러가 발생되도 시스템을 정지하지 않는다.
-All, But Keyboard : 부팅중 키보드 에러를 제외한 에러가 발생하면 시스템을 정지한다.
-All, But Diskette : 부팅중 디스켓 에러를 제외한 에러가 발생하면 시스템을 정지한다.
-All, But Disk/Key : 부팅중 디스켓과 키보드 에러를 제외한 에러가 발생하면 시스템을 정지한다.

☆ 첫화면에서 Advanced BIOSE Features으로 들어간 화면
▶ Anti-virus Protection
부팅 과정 중 하드디스크의 부트 섹터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항목, 간혹 이것을 Enable로 해놓았을때 에러를 발생하는 프로그램도 있음.

▶ CPU Internal Cache
CPU 내부 캐쉬 설정 캐쉬부분은 전부 Enable로 하는게 좋습니다.

▶ External Cache
외부캐쉬 설정.

▶ CPU L2 Cache ECC Checking
CPU에 L2 캐쉬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찾아 줍니다. Enable로 설정 하시는게 좋습니다.

▶ Processor Number Feature

▶ Quick Power On self Test
컴퓨터를 켜면 바이오스가 시스템의 각종 장치들을 체크하므로해서 부팅 시간이 늦어집니다. Enable로 설정하면 중요한 몇가지만 체크하므로 부팅속도가 빨라집니다.

▶ First Boot Device
부팅용 디바이스를 선택합니다. 예를들어 이것을 CD-ROM으로 바꾸면 제일먼저 CD-ROM으로 부팅되게 됩니다.


▶ Second Boot Device
2 번째 부팅되는 디바이스

▶ Third Boot Device
3 번째 부팅되는 디바이스

▶ Boot Other Device
위의 장치외의 장치를 부팅용 디바이스로 설정하기 위한 항목.

▶ Swap Floppy Drive
A드라이브와 B드라이브는 연결되는 케이블에서 결정하는데 이 항목의 값을 Enable로 설정하면 케이블 순서를 바꾸지 않아도 드라이브 이름을 바꿀수 있습니다.

▶ Boot Up Floppy Seek
부팅시 플로피 디스크를 체크합니다.

▶ Boot Up MumLock Status
키보드 우측의 숫자 키가 부팅과 동시에 숫자키로 쓸수 있게 합니다. off로 하면 방향키가 됩니다. (운영체제의 설정에 따라 아닐수도 있음)

▶ Gate A20 Option
1MB 이상의 메모리를 가진 장치들을 제어하는 항목입니다. 이 항목의 값을 Fast로 설정하게 되면 칩셋이 신호를 제어하고 Normal로 설정하면 키보드가 시호를 제어합니다.

▶ TypeMatic Rate (Chars/Sec)
1초 동안에 반복되는 글자 개수.

▶ TypeMatic Rate (Msec)
키를 계속 눌렀을때 반복을 시작 할때까지의 시간.

▶ Security Option
Set Supervisor Password 항목을 설정하면 사용할수 있다.

▶OS Select For DRAM > 64M
64M 이상의 시스템에서는 메모리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OS2를 사용하지 않는게 좋다. OS2 이외의 운영체제를 사용할 경우 이값을 Non-OS2로 설정한다.

☆ 첫화면에서 Advanced Chipset Features으로 들어가 화면
▶ SDRAM CAS Latency Time
SDRAM CAS 신호의 Latency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Latency란 SDRAM이 읽기 명령어를 전송한후 메모리를 읽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며, 메모리 모듈에 따라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램 the도와 무관 하게 2로 지정하고 있으나, 신뢰도가 낮은 메모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3으로 설정해야 한다. 성능 차이가 미미하므로 안정된 시스템 운영을 위해 3으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SDRAM Cycle Time Tras/Trc:

▶ SDRAM RAS-to-CAS Delay
데이터가 SDRAM의 RAS로 넘어가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SDRAM RAS Precharge Time
RAS 신호의 Prechage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System BIOS Cacheable
캐시 메모리는 SDRAM에 비해 동작 속도가 훨씬 빠르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캐시 메모리로 옮긴 후 읽어들이면 실행 속도가 훨씬 빨라진다. 시스템 바이오스를 캐시로 옮겨서 동작시킬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Video BIOS Cacheable
시스템이나 바이오스를 캐시화하는 항목이다. 단, 대용량의 비디오 램을 캐시화할 경우에는 오히려 시스템 성능ㅇ르 저하시킬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 Memory Hole At 15M-16M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데는 PCI나 ISA버스를 사용하는데, 이 항목은 ISA버스에 연결된 장치가 15~16M사이의 영역을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요즘은 ISA버스에 연결하는 경우가 드물고, 메모리홀이 설정된 경우에는 이 영역에 있는 프로그램에 캐시 기능을 부여할수 없으므로 Disabled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 CPU Latency Timer

▶ Delayed Transaction
메인보드 칩셋에는 PCI의 동작 주기를 지연해야 할 경우에 대비해 칩셋 내부에 32비트로 구성된 write 버퍼가 내장되어 있는데, 이 항목의 값을 Enabled로 설정해야만 PCI버스가 PCI2.1규격에 맞게 동작한다.

▶ AGP Graphics Aperture Size
시스템에서 가장 쉽게 성능 차이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화면 표시 제어 장치다. 요즘은 대부분 6MHz의 속도로 동작하는 PCI2.1 기반의 AGP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데, AGP의 최대 동작 속도는 PCI(32비트 모드에서 133MB)보다 4배(32비트 모드에서 533MB)가량 빠르다. AGP 그래픽 카드의 메모리를 제어하면 그래픽카드와 CPU가 데이터를 적당한 크기로 이동시키는데, 이 항목은 그 크기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사용중인 그래픽카드의 메모리 용량을 확인한후 기본 설정을 변경한면 된다.

▶ AGP Device 4X Support
AGP 4배속 지원 여부

▶ System Memory Frequency
보통 AUTO로 설정하면 무난함

☆ 첫화면에서 Integrated Peripherals으로 들어간 화면
▶ On-Chip Primary PCI IDE
메인보드에서 Primary IDE컨트롤러를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한다.

▶ On-Chip Secondary PCI IDE
메인보드에 내장된 Secondary IDE 컨트롤러를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IDE Primary Master PIO
Primary Master의 PIO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IDE Primary Slave PIO
Primary Slave의 PIO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IDE Secondary Master PIO
Secondary Master의 PIO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IDE Secondary Slave PIO
Secondary Slave의 PIO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IDE Primary Master UDMA
IDE 컨트롤러의 Primary Master UDMA를 설정한다. HDD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DMA(Direct Memory Access)를 사용하고 있다. 이 DMA가 클록이 올라가는 부분과 내려가는 부분에서 모두 데이터를 전송할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UDMA이며 일반 DMA방식의 HDD보다 이론상 2배 이상 성능이 우수하다.

▶ IDE Primary Slave UDMA
IDE 컨트롤러의 Primary Slave UDMA를 설정한다.

▶ IDE Secondary Master UDMA
IDE 컨트롤러의 Secondary Master UDMA를 설정한다.

▶ IDE Secondary Slave UDMA
IDE 컨트롤러의 Secondary Slave UDMA를 설정한다.

▶ USB Controller
내장된 USB 컨트롤러를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USB Keyboard Support
시스템 초기 상태에서 USB방식의 키보드를 지원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Init Display First
전원을 공급했을 때 PCI슬롯에서 그래픽 장치보터 찾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PCI슬롯에서 그래픽장치를 찾지 못할 경우에는 AGP슬롯으로 넘어간다.

▶ AC97 Audio
내장된 AC97 사운드 코덱을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AC97 Modem
내장된 AC97 모뎀코덱을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Hardware Reset Control

▶ IDE HDD Block Mode
하드디스크의 데이터를 이동시킬 때에는 인터럽트라는 신호가 사용되는데, 이 인터럽트가 많으면 CPU동작을 간섭할 수도 있다. 이때는 Block Mode로 설정해 데이터를 단위별로 가져오고, 만들어진 명령어를 하드 디스크 운영에 사용해 CPU가 방해를 받지 않고 가능한 많은 시간을 다른 명령어 처리에 할애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POWER ON Function
내장된 USB컨트롤러를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KB Power ON Password
이 곳에 암호를 입력하면 전원 스위치가 아닌 키보드 암호로 전원을 켤수 있다.

☆ Integrated Peripherals 모드에서 아래로 내려가면 아래 목록이 있습니다.
▶ Hot Key Power ON

▶ Onboard FDC Controller
내장된 FDD 컨트롤러를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Onboard Serial Port1
시리얼(COM1) 포트의 IRQ와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Onboard Serial Port2
시리얼(COM2) 포트의 IRQ와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UART Mode Select
UATR는 시리얼 포트를 비롯한 적외선 장치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프로토콜이다. 이 항목의 값을 Nomal로 설정하면 적외선 장치를 시리얼 통신용으로, irDA로 설정하면 irDA규정을 따르는 적외선 장치로, ASKIR(Amplitude Shift Keyed InfraRED)로 설정하면 ASKIR로 동작하는 적외선 장치로 사용할수 있다.

▶ UR2 Duplex Mode

▶ Onboard Parallel Port
프린터 포트의 IRQ와 Address를 설정하는 항목.

▶ Parallel Port Mode
프린트 포트의 동작방법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요즘은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MP3등을 패러럴 포트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양방향 프린터 통신 방법을 많이 이용하는데, 이항목의 값을 EPP와 ECP로 설정하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진다.

▶ ECP Mode Use DMA

▶ PWROM After PWR-Fall
시스템 정원이 갑자기 꺼졌을 때 다음 동작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Game Poet Address
게임 포트의 메모리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Midi Port Address
미디포트의 하드웨어 Address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Midi Port IRQ
미디포트의 하드웨어 IRQ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첫화면에서 Integrated Peripherals으로 들어간 화면
▶ ACPI Function
ACPI(Advanced Configuration & Power Interface)는 시스템을 전력 절감 모드로 사용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 ACPI Suspend Type
ACPI Suspend타입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Power Management
전체적인 전원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 설정하는 항목이다.
-User Define: 사용자 임의로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DPMS Support: HDD를 제외하고 1시간 간격으로 절전 모드가 실행된다.
-Suspend: 1분 간격으로 Doze Mode, Standby Mode, Suspend Mode, HDD Power Down 순으로 절전 모드가 실행된다.

▶ Video Off Method
모니터 화면은 수평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신호를 제어하는 항목이다.
-V/H SYNC+Blank: V(수직)과 H(수평) 두가지 신호 모두 공급하지 않고 화면 데이터도 내보내지 않도록함으로써 절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기본으로 설정된 값이다.
-DPMS Support: 특정 신호를 모니터로 내보내 모니터가 자체적으로 절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설저이다. 과거 VESA방식의 비디오 카드에서 사용되던 절전 방식이다.

▶ Video Off In Suspend
Suspend 모드에서의 비디오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Suspend Type
Suspend 모드의 동작 유형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MODEM USB IRQ
COM1은 IRQ4를, COM2는 IRQ3을 고유 인터럽트로 사용하는데, 이항목은 사용중인 모뎀의 IRQ를 지정하는 항목이다.

▶ Suspend Mode
Suspend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HDD PwrDown in Suspend
Suspend 모드에서의 HDD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 HDD Power Down
Suspend 모드에 진입하기 위한 시간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 Soft-Off by PWR-BTTM
컴퓨터 사용 도중 잘못해서 전원 버튼을 누르면 작업한 내용을 모두 읽게 된다. 이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일순간의 전원버튼 조작은 시스템이 무시하도록 하는 설정이다.
-Delay 4 Sec: 전원버튼을 4초 이상 누르고 있으면 시스템이 꺼지도록 하는 설정이다. 4초 이내로 누르면 시스템은 일시 정지 상태인 Suspend모드로 들어간다.
-Instant-Off:전원 스위치를 누름과 동시에 전원이 꺼지도록 하는 설정이다.

▶ Wake-Up by PCI card
절전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PCI장치에 연결된 주변기기로부터 동작 신호를 받으면 절전모드에서 벗어나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물론 장치가 사용중이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 Power On by Ring
절전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모뎀의 신호를 받으면 절전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 Wake Up On LAN
절전 모드에 진입한 상태에서 랜의 신호를 받으면 절전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 USB KB Wake-Up From S3
USB장치로부터 동작시호를 받으면 S3모드를 벗어나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 Resume by Alarm
절전모드(또는 전원 OFF시)에 시스템이 특정시간에 자동으로 켜지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 Reload Globel Timer Events **
6개의 이 항목은 절전모드 진입 상태에서 다른 주변기기가 동작을 하면 절전 모드에서 벗어나도록 설정하는 항목이다. 물론 다른 주변기기가 사용중이라면 절전모드로 진입하지 않는다.
☆ 첫화면에서 PnP/PCI Configurations 으로 들어간 화면
▶ Reset Controlled Data
항목의 값을 Enabled로 설정하고 새로운 카드를 설치하거나 CMOS셋업의 내용을 변경한 후 종료하면 시스템의 구성을 알려주는 ESCD(Extended System Configuration Data)가 초기화된다. 단, 이로 인해 심각한 문제가 생기면 시스템이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 Resources Controlled By
항목의 값을 Auto로 설정하면 바이오스가 PnP로 등록된 창치들을 자동으로 찾아 각 장치에 적합한 인터럽트와 DMA등을 부여한다.

▶ IRQ Resources
Resource Control을 수동으로 설정할 경우 나타나는 항목으로, 각 장치에 인터럽트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설정한다.
-Legacy ISA: 초기 PC AT규정으로 제작된 장치들에게 이 값을 적용한다.
-PCI/ISA PnP: PCI나 ISA등 버스의 종류와 관계없이 PnP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들에게 이 값을 적용한다.

▶ PCI/VGA Palette Snoop
PCI방식의 그래픽 카드와 MPEG재생카드를 동시에 사용하면 색이 정상적으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럴 때는 이 항목의 값을 Enabled로 설정하면 된다.

 

출처 : 정보왕국
글쓴이 : 정보왕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