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고스트 사용법
■ 노턴 고스트 사용법
■ 노턴 고스트 사용법
PC를 사용하다 보면 본의 아니게 윈도우 운영체제자체의 문제점이나 각종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지우는 과정에서 비롯된 레지스트리의 얽힘,기타 여러 문제로 인한
어플리케이션의 불안정한 실행으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사용 중이던 프로그램을 재설치해야만 하는 불상사가 생기곤 한다.
재설치의 경우 각 프로그램의 설치본이나 하드웨어용 드라이버 등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는 좀 나은 편이나 그렇지 않은 경우 난감하기가 그지없다. 그러나 궂이 걱정할 필요가 없다. 모든 일이 그러하듯 사고 전에 미연에 방지하면 되는 것이다.
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층을 가지고 있고 안정성 또한 입증된 백업 프로그램인 노턴 고스트라는 프로그램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혹시 실수라도 해서 그나마 돌아가던 PC를 아예 먹통을 만드는 게 아닌가 하는 우려를 할수 있는데 전혀 그런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그럼 과연 이 프로그램을 어떻게 사용하면 되는지에 대해선 아래 순서에 따라 그대로 하면 된다.
■ 고스트 설치및 파일백업방법
- 설치전 작업
백업할 드라이브가 C드라이브일 경우 C드라이브 이외의 다른 드라이브에 Ghost 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고스트 파일들을 복사를 한다.
백업할 드라이브의 디스크 조각모음 실행을 하는 이유는 백업후 복원할때 단편화된 파일들을 최적화함으로써 시스템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 고스트 실행
1.고스트 소개창이 화면에 나오면 OK 버튼을 클릭
2.그후 프로그램 창이 나타남.
LOCAL->PARTITION->TO IMAGE 순으로 선택해서 클릭
SELECT LOCAL SOURCE DRIVE : 백업할 드라이브를 선택해서 클릭
SELECT SOURCE PARTITION FROM DRIVE : 백업할 드라이브 파티션 선택
3.FILE NAME TO COPY IMAGE TO : 백업할 IMAGE 파일을 저장할 드라이브 및 디렉토리를
정해서 FILE 명을 입력해야 하는데 복원할 때 고스트 프로그램에서 백업 FILE 명이 된다
4.FILE 명 입력후 클릭
5.IMAGE FILE : 백업할 파일을 압축할 것인지 3개의 메뉴에서 설정을 한다.
NO : 압축안함
FAST : 압축비율 70% 정도
HIGH : 압축율 50% 정도로 좋으나 백업속도가 느리게 된다.
보통 두번째 FAST를 선택하면 무난하다. 그후 Proceed with Partition Dump 에서 Yes 선택해서 클릭
6.백업 실행 : 1.6 기가 바이트 백업시 약 15분 소요
7.백업완료후 위에서 정한 파일이 GHOST 폴더에 생성되며 파일명을
WIN2000. GHO로 했을경우 해당 폴더에 WIN2000.GHO로 파일이 생성된다.
- 백업 완료
- 복원 방법
복원할 드라이브를 우선 포맷한다 .윈도우에서 포맷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사용 중이므로 실행이 되지 않으므로 부팅디스크로 부팅하거나 부팅 시 F8 키를 눌러 도스모드로 부팅을 해야 한다.
포맷할 드라이브가 C 드라이브일 경우 도스 프롬프트 상태에서 FORMAT C: /S 명령을 주자.
/S 옵션을 줌으로써 포맷할 때 시스템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
- 고스트 실행
1.고스트를 설치한 드라이브의 폴더로 가서 실행한다.
2.고스트 소개화면이 나오면 OK 버튼을 클릭
LOCAL->PARTITION->FROM IMAGE 순으로 선택해 클릭
LOCAL->DISK->FROM IMAGE : 물리적인 드라이브, 즉 하드디스크 자체가 2대 이상일 경우 사용하는 것이고 PARTITION은 하나의 드라이브에 파티션을 여러개로 분할해 사용할 경우이다
3.FILE NAME TO LOAD IMAGE FROM : IMAGE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와 파일명 선택하고 클릭
4.SELECT SOURCE PARTITION FROM IMAGE FILE : 이미지로부터 복원할 파티션을 선택하면 된다.
5.SELECT LOCAL DESTINATION DRIVE : 백업 FILE 설치할 드라이브를 물으면 복원할 드라이브를 선택하면 된다.
6.SELECT DESTINATION PARTITION FROM DRIVE : 선택한 드라이브 중에 해당 드라이브의 파티션을 선택한다.
7.PROCEED WITH PARTITION LOAD-DESTINATION OVERWRITTEN : 백업파일로 복원을 진행하겠느냐에 YES를 클릭
- 복원 시작
완료 후 Reset Computer 메뉴를 선택 후 재부팅하면 완벽하게 복원이 된다.
■ 주의 사항
반드시 하드디스크가 두대 이상이어야 하고 BACKUP FILE을 설치할 하드의 용량이 원본파일의 용량보다 커야 한다
->2대이상이란 물리적으로 2대이상,또는 하나의 드라이브에 여러 개의 파타션으로 분할한 드라이브를 말함.
고스트(GHOST)에 의한 시스템 백업과 복구
고스트로 Windows 시스템을 백업하려 할 때는 도스로 부팅해야 한다. NT기반(NT,2K,XP)의 윈도우 명령창에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고스트로 시스템을 백업하기 위해서는 하드 디스크가 두 개 이상이거나 CD-RW 드라이브가 있거나 아니면 하나의 하드 디스크라도 두 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분할되어 있어야 한다.
자 그럼 두 개 이상의 파티션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 강의를 시작합니다.
시스템을 백업하기 위해 DOS 디스켓, 고스트 실행파일(ghost.exe) 그리고 백업 이미지를 CD롬에 저장하려는 사람은 CD-RW 드라이브가 있어야 한다.
도스 디스켓은 윈도우 98의 도스 부팅 디스켓이 적당하다. 98도스 디스켓은 FAT32도 인식할수 있기 때문이다. 시스템을 백업하기 전에 하드의 다른 파티션에 고스트 실행 파일은 미리 복사해 두어야 한다. 98 도스 디스켓에는 고스트 실행파일(ghost.exe)을 복사할 여유 공간이 없다. 한가지 더 부탁 드릴 것은 하드의 데이터 파일은 반드시 백업해 두어야 합니다. 웬만큼 컴이 능숙한 사람도 깜박 실수로 소중한 자료를 몽땅 날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시스템의 백업
자 준비가 되었으면 도스로 부팅한다. 컴퓨터를 켜고 처음에 C-MOS 셋업을 하기위해 DEL키를 누르고 1번 부팅 매체를 플로피로 지정한다.
하나의 하드를 C:와 D: 의 두 개의 파티션으로 분할해 놓았으며 고스트 실행 파일이 D드라이브의 BACKUP폴더에 있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해서 고스트를 실행한다.
A:\>D:\BACKUP\ghost.exe
고스트를 실행하면 고스트 화면이 뜨고 다음과 같은 메뉴가 보이는데 Local을 선택한다.
Local
Options
Quit
다음과 같은 메뉴가 나오는데 파티션을 백업할때는 Partition을 디스크를 백업할때는 Disk를 선택한다. 우리는 한개의 하드의 첫 번째 파티션( C: )을 두 번 째 파티션( D: ) 또는 CD롬에 백업하려는 것이므로 Partition을 선택하고 엔터를 친다.
Disk
Partition
Check
다음과 같은 메뉴가 보이는데 파티션의 모든 파일과 정보를 이미지로 저장하려는 것이므로 To Image를 선택하고 엔터한다.
To Partition
To Image
From Image
다음과 같이 소스 드라이브를 선택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Select local source drive by clicking on the drive number.
자신의 시스템의 모든 드라이브를 보여 주는데 백업하고자 하는 드라이브를 선택한 뒤 Tab 키를 누르면 하위 메뉴단추(Cancel)로 이동한다.
OK 와 Cancel 중에 OK를 선택하고 엔터하여 다음으로 넘어간다.
Select source partition(s) from Basic drive:1
드라이브를 선택했으니 드라이브중의 어느 파티션을 백업할 것이냐고 묻는다. 해당 파티션(아마도 첫 번째 파티션)을 선택하고 엔터하면 밑에 OK 단추가 활성화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Tab 키를 이용하여 OK로 가서 엔터를 친다.
다음은 이미지로 저장할 파일 이름을 정하는 순서다. 물론 타켓 드라이브,파티션도 지정한다.
File name to copy image to
Look in: ... 옆에 드라이브명 입력 상자가 있는데 Tab 또는 Shift + Tab를 사용하여 입력 상자로 이동한 뒤 엔터하면 모든 드라이브가 죽 나열된다. 여기서 우리는 이미지를 저장할 타켓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엔터를 친다.
*하드 파티션을 선택하고 엔터했다면 그 드라이브의 여러 개의 폴더를 보여 주는데 이미지를 저장 할 폴더를 선택하고 엔터한다.
*CD-RW를 선택하고 엔터했다면 뒤에 가서 시디롬을 부팅 가능하게 할거냐고 물을 때 Yes하면 다음엔 부트 이미지가 있는 드라이브를 지정해 달라고 하는데 이미 밑의 드라이브명 입력 상자에 도스 디스켓이 있는 A: 드라이브가 표시되고 있을 것이므로 그냥 OK 하면 된다.CD롬에 부트 이미지(도스디스켓에서 읽어옴)를 복사하여 CD를 부팅 가능하게 만들어준다.
타켓 드라이브의 폴더가 나열되면 이미지를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고 엔터한뒤 Tab키를 이용해 File name 입력상자로 이동해 이미지 파일명을 입력한다.
예를들면 xpbak 이와 같은식으로.... 확장명은 미리 *.GHO로 지정되어있다.
GHO는 노턴 고스트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다.
파일명은 다섯글자가 알맞다. 그 이유는 사용해보면 알게 된다.
파일명 입력이 끝났으면 Tab키를 이용해 Save로 가서 엔터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Compress image file? 이미지를 압축할 것이냐고 묻는다. 세 개의 옵션이 있는데...
NO 압축하지 않고 저장
Fast 빠른 복구가 가능한 압축
High 가장 높은 비율로 압축
필자는 Fast를 선택할 것을 권장한다. 위의 압축 옵션 선택 후 엔터하면
Preceed with partition image creation?
파티션 이미지 만들기를 할거냐고 재 확인한다.
OK 선택 후 엔터하면 작업이 시작된다.
No 하면 고스트 처음화면으로 돌아간다. 여기서 앞의 과정이 미심쩍은 분은 No를 선택하여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소스와 타켓의 드라이브,파티션을 정확히 지정했는지 검토해 봐도 좋다.
Pregress Indicator
진행 상황을 알리는 창에 백분율로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 작업이 끝나면
Image Creation Completed Successfully 란 성공 메시지를 보낸다.
Continue에서 엔터하고 Quit로 가서 고스트를 빠져 나온다. 시스템의 백업이 끝났다. Power 버튼을 눌러 컴퓨터를 끄거나 Ctrl + Alt + Del을 눌러 다시 윈도우로 부팅한다.
시스템의 복구
다음은 고스트 이미지를 이용한 시스템의 복구인데 백업을 성공적으로 한 사람은 복구는 문제 없이 할 수 있다.
하드에 이미지를 저장한 사람은 도스 디스켓으로 부팅하여 하드에 있는 고스트 실행파일(ghost.exe)을 실행하면 되고, 부팅 가능 시디를 만들고 거기에 이미지를 저장한 사람은 시디로 부팅한 뒤 고스트를 실행한다.
시디에는 부트 이미지, 백업한 파티션 데이타, 하드디스크 파티션 정보, 고스트 실행 파일이 다 들어 있다. 따라서 하드에 아무것도 없어도 이 시디 만 있으면 시디로 부팅하여 예전의 시스템으로 복구할 수 있다. 단 이때 알아 둘 것은...
자신의 시디 드라이브가 예를 들어 F: 라고 하더라도 시디로 부팅하면 도스 명령 프롬프트가 A:\> 로 나온다.
당황하지 마시기를...
이것은 도스가 시디에 담길 수 있는 운영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A드라이브를 에뮬레이트 해서 그런 것입니다. 즉 시디 드라이브가 A드라이브로 가장하고 있다는 얘기죠
따라서 시디 드라이브는 이 경우 원래의 F 드라이브와 에뮬레이트한 A 드라이브의 역할을 둘다 하고 있다. 나중에 소스 드라이브 지정할 때는 본래의 F 드라이브로 지정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 두시길....
시스템 복구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앞의 가정대로라면 우리는 이미지를 가지고 하드의 첫 번째 파티션을 복구하려는 것이므로
Local........Disk...............To partition
................Partition..........To Image
................Check.............From Image
위에서 메뉴의 선택은 Local -> Partition -> From Image 의 순서대로 선택한다.
(디스크 전체를 복구 하는 것이라면 Disk 를 선택하게 되지만, 만일 파티션을 이미지로 백업해 놓고 그 파티션만 복구하려할 때 Disk 로 잘못 선택한다면 아~아~ 큰일이... 하드의 나머지 파티션이 날라 갑니다.! 왜냐하면 고스트 이미지는 파티션의 예전 데이타는 물론이고 그 파티션을 포함하고 있는 하드디스크 전체의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Disk를 선택하면 디스크 전체를 복구하므로 뜻하지 않은 재앙이 발생합니다. 백업한 시점의 디스크로 나머지 파티션까지 복구 시키기 때문에 소중한 데이터를 모두 날리게 된다는 얘깁니다.)
Local -> Partition -> From Image 에서 엔터하면
Image file name to restore from
복구할 이미지 파일을 찾는 단계다.
Shift -Tab를 눌러 드라이브 선택 상자로 이동하여 엔터하면 드라이브가 나열되는데 선택하고 엔터하면 폴더가 나열된다. 역시 폴더를 선택하고 엔터한 다음 이미지 파일을 선택하면 File Name 창에 이미지 파일 이름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Tab 키를 눌러 Open 으로 가서 엔터한다.
Select source partition from image file
이미지 파일의 근원적 파티션(즉 원래 있던 파티션)을 확인한다. 여러분이 위와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면 근원적 파티션은 이미 선택되어 있고 선택을 변경할 순 없다)
Tab 키를 눌러 OK에서 엔터한다.
Select local destination drive by clicking on the drive number
타켓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Tab를 눌러 OK 로 가서 엔터한다.
Select destiantion partition from Basic drive;1
타켓 파티션을 선택하고 Tab를 눌러 OK로 가서 엔터한다.
Proceed with partition restore? 파티션 복구를 진행할까요? 하고 묻는다. OK 하면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
Destination partition will be permanently overwritten. 타켓 파티션이 영구적으로 덮어쓰여질 거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Yes에서 엔터하면
Progress Indicator 진행 상황을 백분율로 보여 준다.
시스템 복구가 끝나면 다음과 같은 메세지를 보여준다.
Clone Completed Successfully 복제가 완전히 성공했습니다.
"Reset Computer" 에서 엔터하면 다시 부팅하게 되는데,
부팅 시 C-MOS에서 "첫번째 부팅 매체" 를 플로피, 하드 디스크, CD드라이브로 변경하는 방법은 잘 알고 있어야 한다.
******************************************************************
** 고스트 파일을 만들 때 사용하면 좋은 옵션에 대한 설명 **********
******************************************************************
* 이미지 파일 생성시
-SPLIT=630 : 분할 압축 옵션
-AUTO : 분할 압축 시 자동으로 다음 파일명 부여
* 이미지 파일을 하드디스크로 복구시
-CLONE,MODE=LOAD,SRC="X:\IMAGE.GHO,DST=1" -RB -SURE
---------------- ---------------- ----- --- -----
| | | | |
| | | | +-- 'y'키를 자동으로 누르는 효과
| | | +------- 작업완료 후 자동으로 재부팅
| | +------------ 복구시킬 하드디스크 (1 = C:, 2 = D:, ...)
| +----------------------- 이미지 파일명
+---------------------------------------- 메뉴의 'FROM IMAGE'를 선택하는 효과
* 위의 명령을 사용해 보자.
먼저, 이미지 파일을 만들 때에는 'GHOST -SPLIT=630 -AUTO' 를 입력하여 실행하여 작업을 진행하면 이미지 파일의 용량의 최대크기가 630M로 제한된다. 초과되는 이미지 파일은 확장자를 달리한 별도의 파일로 자동 생성되며 '-AUTO' 옵션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매번 다음 파일명을 지정할 필요없이 고스트 스스로 적당한 파일명(확장자에 일련번호가 매겨진다.)을 부여한다.
주) CD롬의 최대 용량은 보통 650M 짜리는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위의 예제에서는 630M를 지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제작 후 CD의 손상을 미리 예방하기 위함으로 CD의 바깥쪽 트랙이 비교적 쉽게 망가지는 듯 하여 약간 최대용량에서 약간 그 크기를 줄였다. 이것은 필자의 결벽증에서 기인한 사항이므로 이 글을 읽는 분들은 나름대로 용량을 지정해서 사용하기 바란다.
다음은, CD레코더를 소유한 사용자들의 최대 관심사라 할 수있는 복구CD(마스터CD)를 제작하는 요령을 살펴보겠다.
******************************************************************
** 복구CD의 제작 *************************************************
******************************************************************
준비물 : (1) 3.5인치 FDD - 부팅디스켓
(2) 공시디 + CD레코더
(3) 하드디스크 이미지 파일
** 공시디(복구시디용)안에 기록될 파일 목록
GHOST.EXE
FORMAT.COM
IMAGE.GHO ----------- 고스트 이미지 파일
** 부팅 디스켓의 파일 목록
HIMEM.SYS
OAKCDROM.SYS
MSCDEX.EXE
FDISK.EXE
FORMAT.COM
GHOST.EXE
** 디스켓의 내용 중 'CONFIG.SYS'파일
DOS=HIGH,UMB
DEVICE=HIMEM.SYS
DEVICE=OAKCDROM.SYS /D:MSCD001
** 디스켓의 내용 중 'AUTOEXEC.BAT'파일
@ECHO OFF
MSCDEX /D:MSCD001 /L:X
IF ERRORLEVEL==0 GOTO GO_START
GOTO ERROR
C:
IF ERRORLEVEL==0 GOTO GO_START
FDISK
:GO_START
X:
ECHO.
ECHO PRESS ANY KEY TO START NOW..!!
PAUSE > NUL
FORMAT C:
GHOST -CLONE,MODE=LOAD,SRC="X:\IMAGE.GHO,DST=1" -RB -SURE
:ERROR
ECHO.
ECHO ERROR..!!
GOTO QUIT
:QUIT
** 다, 준비가 되었으면, 공시디에 내용을 레코딩한다. 이때 부팅CD를 제작할 수 있다면 불편하게 부팅디스켓을 챙기지 않아도 되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주) 위의 CONFIG.SYS파일과 AUTOEXEC.BAT파일의 내용은 IDE CDROM 사용자에게 적합한 환경이므로, SCSI CDROM만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시스템에 맞도록 그 내용들을 수정해야 한다.
** CDROM에 복구CD를 넣고 복구부팅디스켓으로 부팅을 하면 CDROM드라이브가 자동으로 인식되고 드라이브명은 X:로 잡히게 된다. 만일 CDROM의 인식에서 오류가 발생한다면 작업은 종료..
C:로 이동을 시도해 보아서 오류가 생기면 파티션 분할작업을 시도하고, 정상적이라면 X:로 이동한 후 C:를 포맷하게 된다.
포맷 직전에 작업진행과정이 잠시 멈추게 되고, 사용자의 최종 승인(?)을 기다린다. 'PRESS ANY KEY TO START NOW..!!'란 메시지와 함께.. 아무 키나 누르면 포멧이 실시되고 포멧이 완료되면 질문없이 바로 복구가 시작되고 복구작업이 끝나게 되면 자동으로 재부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