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상 차리는 법
제사상 차리는 법만큼 복잡하고 어려운 것도 없다. 그러나 그 원리를 알고 보면 어느 것이 원칙인지 금방 알 수 있다. 음식의 중요성 순서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즉 음식 중 가장 중요한 밥 국과 같은 주식(主食)을 신위 쪽에서부터 제1 가까운 1열에, 그 다음 중요한 고기를 2열에, 그 다음 중요한 부침이를 3열에, 그 다음 중요한 나물을 4열에, 그리고 후식인 과일을 5열에 차리는 것이다.
그리고 제사상에는 이 세상의 모든 산해진미(山海珍味)를 차린다는 뜻이 있는 것이다.
즉, 산(山)에서 생산되는 것, 들(野)에서 생산되는 것, 집(家)에서 기른 것, 집에서 만든 것,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것 등을 모두 차리는 것이다. (산소에 갈 때 주과포(酒果脯)라 하여 술 1병, 사과 1개, 포 1개만 갖고 가는 것도 이 격식에 따른 것이다. 즉 산야(山野)에서 생산되는 사과에, 집(家)에서 생산되는 술에, 바다(海)애서 생산되는 포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 제사상은 북(北)쪽에 차리는 것이 원칙이나. 북쪽에 차렬 수 없을 때엔 아무 쪽으로 차려도 되는 것이다. 그럴 경우엔 그 쪽을 북쪽으로 생각하고 제물을 차리면 된다.
신위(神位) |
고서비동(考西妣東).라는 것은 "남자 조상님은 서쪽, 여자 조상님은 동쪽으로 모셔라" 는 뜻인데 음양이 반대이다. 그것은 양(男)은 동쪽으로 가려하고, 음(女)은 서쪽으로 가려하기 때문에 이렇게 모셔야 서로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
1열에는 음식 중 가장 중요한 主食인 밥(메)과 국(탕)을 차린다. |
밥, 국, 술잔은 물론, 떡, 국수, 설날 떡국, 추석날, 송편, 물, 수저도 여기에 차린다. (밥과 국의 경우 • 죽은 분에게 올리는 것이니 음양이 반대라야한다라고 생각한다면 서반동갱(서쪽에 밥, 동쪽에 국)으로 차리고, * 죽은 후에도 살아 계실 때와 똑같은 모습으로 계신다. 라고 생각한다면 동반서갱(동쪽에 밥, 서쪽에 국)으로 차리면 되는 것이다. |
2열에는 주식 다음으로 중요한 고기(肉)를 차린다. (이 2열부터는 산야가해(山野家海)의 순서대로 차린다. |
山짐승인 소고기산적에, 들(野)짐승인 돼지고기수육에, 집(家)에서 기른 닭찜에, 집에서 가공한 포에, 바다(海)에서 생산되는 조기를 차린다. (옛날 가난할 때는 고기를 살 형편이 못 되어 포를 고기반열인 첫 번째에 놓거나, 고기를 조금 사다 고기국(육탕=肉湯)을 끓이고, 채소의 국(채탕=菜湯), 생선의 국(어탕=魚湯)을 끓여 3탕으로 차렸으나, 지금은 덩어리 고기를 차림으로서 3탕은 차리지 않는다.) |
3열에는 고기 다음으로 중요한 전(煎) 즉 부침이를 차린다 |
역시 산야가해(山野家海)의 순서대로 산(山)의 짐승인 소고기(돼지고기로도 한다)가 들어간 동그랑땡에, 들(野)에서 생산되는 배추를 넣은 부침이에, 집(家)에서 생산한 간장에, 집에서 만든 두부부침에, 바다(海)에서 생산된 생선의 포를 넣은 전을 차린다. |
4열에는 부침이 다음으로 중요한 나물을 차린다. |
역시 산야가해의 순서에 따라 산(山)고사리에, 들(野)도라지에, 집(家)에서 기른 숙주나물에, 집에서 담근 물김치에, 바다(海)나물인 김을 차린다, |
5열에는 후식인 과일(果實)을 차린다. 여기에서는 조율이시(棗栗梨柿)나 홍동백서(紅東白西)로 차린다. |
조율이시(棗栗梨柿)는 대추는 씨가 하나라 임금을 뜻하니 첫번째 놓고, 밤은 한 송이에 3개가 들어있어 3정승을 뜻하니 2번째 놓고, 배, 사과는 씨가 6개라 6조판서(判書)를 뜻하니 3, 4번째 놓고, 감은 씨가 8개라 8도관찰사(觀察使)를 뜻하니 5번째 놓으라는 것이다. 그리고 씨가 많은 것, 즉 백성을 뜻하는 과일로서 참외, 수박, 포도 같은 것을 놓으라는 것이다, (옛날에는 1년내내 과일이 있는 것이 아니라서 곳감, 색동사탕, 약과, 산자 같은 한과로 대신했다.) * 조율이시를 어렵게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홍동백서(紅東白西) 즉 동쪽은 양이고 서쪽은 음이니 붉은 색 과일은 동쪽으로, 백색과일은 서쪽으로 놓으라고 했던 것이다. |
이상과 같이 밥과 국(탕) 술에 5육(肉) 5전(煎) 5채(菜) 8과(果)를 차리면 완전한 것이다. 그러나 그렇게 차렬 수 없을 때에는 3육, 3전, 3채, 5과를 기본으로 하고, 더 차리고 싶으면 더 차리면 되는 것이다.
* 그리고 설 추석 큰제사(門中大祭)의 겨우, 그 많은 조상님들의 밥을 어떻게 차리는가라는 것인데, 이것도 “전부"라는 뜻의 3 그릇만 차리던가, "아주아주 많은” 이라는 뜻이 담긴 9그릇만 차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산적 부침이 과일 같은 것도 3개씩 또는 9개씩이면 충분한 것이다. (큰제사-아래에 설명되어 있음)
그리고 오신채(五辛菜)라 해서 고추, 파, 마늘, 생강, 식초 같은 것을 쓰지 말라고 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불교에서 스님들이 이것을 먹으면 흥분되고 음탕한 생각을 한다하여 금하는 것이지, 유교를 바탕으로 하는 제사에서는 금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3가지 이상이 되었을 때는 그대로 더 차리면 되는 것이지 꼭 훌 수로만 차리라는 법도 없는 것이다.
* 다음과 같은 말들은 유식하게 들리지만 "음양을 따르라"는 것뿐이니 참고로 할뿐 외울 필요는 없다.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팔딱팔딱 뛰니 양(동쪽), 소 돼지는 느리니 음(서쪽,)
두동미서(頭東尾西). 머리는 양이라 동쪽, 꼬리는 음이라 서쪽,
배남복북(背南腹北). 등은 양이라 남쪽, 배는 음이라 북쪽(배가 신위 쪽으로)
생동숙서(生東熟西). 생(生)것은 양이라 동쪽, 익(熟)은 것은 음이라 서쪽,
좌포우혜(左脯右醯). 포(脯)는 죽은 것이니 음(서쪽), 식혜는 살아있으니 양(동쪽), (옛날 가난하여 고기를 살 형편이 못 되어 포를 고기반열에 놓았을 때 좌측 첫 번째에 놓으라는 것임, 요즘은 해당되지 않는다.)
홍동백서(紅東白西). 붉은 색은 양이라 동쪽, 흰색은 음이라 서쪽,
조율이시(棗栗梨柿). 씨의 수대로 놓으라는 것
* 5육 5전 5채 8과로 차린 완전한 제사상
* 밥,국,잔만 2분일 때는 2조. 4분일 때는 4조. 설, 추석, 큰제사 같은 전 조상님을 모실 때는 3조나 9조
신위 ☞ |
촛 불 |
|
신위/지방 |
|
촛 불 |
1열 주식☞ |
(국수) |
국 밥 잔 |
|
국 밥 잔 |
(떡) |
2열 고기☞ |
소고기(산적) |
돼지(수육) |
닭(삶음) |
포 |
조기(찜) |
3열 부침☞ |
동그랑땡 |
야채부침이 |
간장 |
두부부침 |
생선포부침이 |
4열 나물☞ |
고사리 |
도라지 |
숙주나물 |
물김치 |
김 |
5열 과일☞ |
대추 밤 |
배 사과 |
감/곳감 |
포도 참외 |
수박 |
|
☝산에서 생산된 것 |
☝들에서 생산된 것 |
☝집에서 생산한 것 |
☝집에서 가공한 것 |
☝바다에서 생산된 것 |
향 불 |
|
잔 |
주전자 |
모사그릇 |
|
신위 |
촛불 |
|
신위 |
|
촛불 |
1열 주식 |
|
국 밥 |
|
국 밥 |
|
2열 반찬 |
고기 |
부침이 |
나물 |
김 |
조기 |
3열 과일 |
대추 |
밤 |
배 |
사과 |
기타과일 |
1열엔 주식, 2열엔 반찬, 3열엔 과일의 순서로 차리는 방식으로서 이렇게해도 됨
두부전(약800g),삼색전(약600g), |
고사리(약500g),시금치(약500g), |
어탕(약700g),육탕(약700g), | |
|
![]() |
![]() |
![]() | |
닭1마리, 조기大3마리 | 감(곶감): 7(9)개, 사과: 7개,배: 7개,계절과일: 적당량 |
약과,밤,대추,고기산적,황태포, 백김치,떡(증편),산자,식혜,삭혜밥 기타 : 향/양초,붓펜,화선지,전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