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자료

인터넷연결공유

다람쥐3 2008. 7. 12. 16:55

복사 http://blog.naver.com/hjo0075/140005448473

인터넷연결공유

Windows를 이용하여 컴퓨터 2대 공유하기

 

<2대 만의 컴퓨터를 공유하기 위해서는 인터넷과 연결된 컴퓨터A에 랜 카드가 두 장 필요하다. 한 장은 케이블 모뎀, ADSL 모뎀과 연결되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랜 카드(공인 IP사용)이며 또 하나의 랜 카드는 컴퓨터 B와 연결하기 위한 랜 카드이다. 허브나 스위치는 필요 없으며 컴퓨터A와 컴퓨터B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해야한다. 그림에서 컴퓨터 AWindows 98 SE/2000/XP를 사용해야 하며 컴퓨터 B는 어떠한 운영체제라도 상관없다.>

 

서버가 되는 컴퓨터가 Windows98 SecondEdition / Me 일 경우

 

<먼저 서버가 되는 컴퓨터(컴퓨터A)가 Windows 98 SE(Second Edition)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바탕 화면의 [내 컴퓨터]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등록 정보]를 선택한다.>

 

 

<일반 Windows 98은 인터넷 공유가 불가능하며 반드시 Windows 98 SE 이상이어야 한다.>

  

 

<Windows 98 SE만 설치되었다고 인터넷 공유가 가능한 것은 아니다. [설정], [제어판]으로 이동한다.>

 

 

<[프로그램 추가/제거]를 더블클릭한다.>

 

<[Windows 설치] 항목으로 이동하여 [인터넷 도구]를 선택하고 [자세히]를 클릭한다.>

 

 

<그림처럼 [인터넷 연결 공유]에 체크가 되어 있어야 한다.>

 

여기까지 완료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Windows CD를 넣으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파일이 복사된 다음, 다음과 같은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다음]을 클릭한다.>

 

<컴퓨터A에는 랜 카드가 두 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었다. 목록을 보면 두 장의 랜 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 인터넷과 연결된 랜 카드를 선택한다. 사전에 자신의 케이블 모뎀이나 ADSL 모뎀이 어떤 랜카드와 연결되어 있는지는 알아두어야 한다. >

 

Windows 98 SE에서는 두 장의 랜 카드가 같은 종류이면 이 부분에서 많이 헷갈리게 됩니다. 가급적 Windows98 SE에서 인터넷 공유를 설정할 때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랜 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의 과정에서 컴퓨터A의 설정은 거의 완료된 상태이다. 이 창은 컴퓨터B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해 주는 마법사 디스크를 작성하는 화면이다.>

 

 

<플로피 디스크를 삽입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마침]을 클릭한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다.>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 후 컴퓨터 A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열어보면 그림처럼 [인터넷 연결 공유] 항목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컴퓨터A의 랜 카드 중 인터넷과 연결된 랜 카드의 등록정보이다. 대부분 유동 IP를 사용하므로 [자동으로 IP 주소 지정]에 체크가 되어 있다. 만약 고정 IP를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자신의 고정 IP를 입력할 수 있다.>

 

 

<컴퓨터B와 연결되는 컴퓨터A의 랜 카드 등록 정보이다. 그림처럼 반듯이 IP 주소는 ‘192.168.0.1,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곳에서 DNS나 게이트웨이 정보는 필요하지 않다.>

 

여기까지 완료하면 컴퓨터A의 설정은 모두 끝나게 됩니다. 다음은 인터넷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컴퓨터B의 설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앞의 설치과정에서 만들어둔 디스켓을 컴퓨터 B에 넣은 후 내 컴퓨터를 열어 플로피 드라이브로 이동한다. 그림처럼 두 개의 파일이 만들어져 있으며 [icsclset] 아이콘을 더블클릭한다.>

 

 

<그림처럼 [브라우저 연결 설치 마법사]가 실행된다. [다음]을 클릭한다.>

 

 

<[다음]을 클릭한다.>

  

 

<[마침]을 클릭하였을 때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실행되면서 인터넷이 정상적으로 뜨면 성공적으로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켓을 이용하여 컴퓨터B를 설정하게 되면 컴퓨터B는 유동 IP를 사용하는 환경으로 설정되어 집니다. 즉 컴퓨터B가 부팅을 하면 컴퓨터 A로부터 IP 주소와 DNS, 게이트웨이 값을 받아 오게 됩니다. 만약 이 디스켓이 없다거나 유동 IP가 아닌 고정 IP로 컴퓨터B를 설정 하고자 한다면 컴퓨터B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IP 주소

192.168.0.2에서 192.168.0.254 중 아무거나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DNS

168.126.63.1(코넷의 DNS 주소이다. 다른 DNS 주소를 써도 무방하다.)

게이트웨이

192.168.0.1(컴퓨터 A의 IP 주소이다.)

 

 

 

서버가 되는 컴퓨터가 Windows 2000또는 Windows XP일 경우

 

운영체제가 Windows 98 SE가 아닌 Windows 2000이나 Windows XP인 경우에도 네트워크의 구성은 Windows 98 SE와 동일합니다. 다만 Windows 98 SE에서는 ‘인터넷 연결 공유’를 따로 설치해야 했지만 Windows 2000이나 Windows XP의 경우 인터넷 공유 기능이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A의 네트워크 등록정보를 연다.>

 

<컴퓨터A에 장착된 2장의 랜 카드가 보인다. 여기에서 [로컬 영역 연결(SMC 랜 카드)]이 인터넷에 연결된 랜 카드이다. [로컬 영역 연결]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속성]으로 이동한다.>

 

 

 

 

 

<[속성]에서 [고급]으로 이동한다. [인터넷 연결 공유]에서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에 체크한 후 [확인]을 클릭한다.>

 

그림을 보면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공유 인터넷 연결을 제어]라는 항목도 있습니다. 케이블 모뎀이나 전용선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라면 필요 없는 기능이지만 일반 전화 모뎀이나 ADSL 사용자의 경우 선택을 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전화 모뎀이나 ADSL의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전화모뎀은 전화를 걸어야 하고 ADSL의 경우는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로 로그온을 해야만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서버가 되는 컴퓨터가 ADSL에 로그인이 되어 있지 않으면 인터넷 공유를 사용하는 컴퓨터는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때 바로 이 기능을 선택하면 서버가 되는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클라이언트가 인터넷 사용을 시도하면 서버가 되는 컴퓨터가 ADSL에 로그온하거나 전화 모뎀의 경우 ISP에 전화를 거는 작업을 하게됩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그림처럼 [로컬 영역 연결] 아이콘이 공유된 모양으로 바뀌고 [공유됨]이라고 표시된다.>

 

이제 [로컬 영역 연결 2]로 이동하여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로컬 영역 연결 2]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속성]으로 이동한다.>

 

 

<[일반] 항목에서 [인터넷 프로토콜(TCI/IP)]를 선택 후 [속성]을 클릭한다.>

 

 

<그림처럼 IP 주소가 ‘192.168.0.1’로 입력되어져 있을 것이다. Windows 2000/XP에서는 굳이 ‘192.168.0.1’의 주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관이 없다. 원한다면 ‘192.168.1.1’과 같이 다른 IP 주소를 사용해도 상관없다.>

 

이제 인터넷을 공유하는 컴퓨터B나 컴퓨터C의 네트워크 설정 부분이 남아 있습니다. Windows98 SE와 마찬가지로 아무런 설정을 하지 않아도 Windows 2000/XP에서 컴퓨터B와 컴퓨터C 등에 유동 IP를 부여하여 주기 때문에 별다른 설정은 필요치 않습니다. 하지만 굳이 고정 IP를 사용하기 원한다면 고정 IP주소를 입력하여도 무방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고정 IP, 컴퓨터A의 두 번째 랜 카드의 IP 주소가 ‘192.168.0.1’이라면 ‘192.168.0.2’에서 ‘192.168.0.254’를, ‘192.168.1.254’라면 ‘192.168.1.1’에서 ‘192.168.1.253’ 사이의 주소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즉, 컴퓨터A의 두 번째 랜 카드와 중복되지 않으면서 같은 네트워크 대역의 주소를 사용해야 합니다.

 

※ 잠깐만! - Windows 2000 사용자들의 인터넷 공유

Windows 2000에서 공유설정은 WindowsXP에서의 설정은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단지 인터넷 연결 방화벽과 같은 기능이 없는 관계로 설정창이 WindowsXP에 비하여 간단합니다.

 

<Windows2000 의 내트워크 등록정보 이다.>

 

<인터넷과 연결된 랜카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등록정보]로 이동한다.>

 

<Windows2000의 로컬 영역연결의 등록정보이다WindowsXP와는 다르게 ‘일반’과‘공유’항목만 있다.  ‘공유’항목을 선택한다.>

 

 

<‘공유’항목을 선택해도 WindowsXP에 비하여 상당히 간략하다.  여기서 “이 연결에 인터넷 연결 공유 사용”항목에만 채크를 하여 두면 공유 설정이 완료 된다.  채크가 되었다면 [확인]을 클릭한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이 메시지창에서 [예]를 클릭하면 인터넷에 연결된 랜카드가 아닌 공유를 위해 사용되는 랜카드의 IP 주소가 “192.168.0.1”로 변경되어 진다.>

 

※ 잠깐만! - 일부 ADSL 사용자들의 인터넷 공유

앞서 설명한 방법은 케이블 모뎀 사용자와 메가패스 MyIP 등 고정 IP 사용자에게 해당됩니다. ADSL 사용자의 경우 설정 방법에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ADSL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열어 보면 가상의 랜 카드가 하나 더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ADSL에서 인터넷 공유는 실제 컴퓨터에 장착되어 있는 랜 카드가 아니라 가상으로 등록된 랜 카드에서 공유 설정을 해야 합니다.

 

<실제 랜 카드 외에 ‘광대역’이라는 이름의 가상 랜 카드가 하나 보인다. ADSL의 경우 컴퓨터에 장착된 랜 카드에 공유 설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위 그림에서 ‘광대역’이라고 되어 있는 가상 랜 카드에 공유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가상으로 생성되어 있는 랜 카드 아이콘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속성]으로 이동한다.>

 

<속성 창이 뜨면 [고급]으로 이동하여 공유 설정을 한다.>

 

 

●컴퓨터 3대 이상 인터넷 공유하기

 

 

<두 대를 공유하는 것과의 차이점이라면, 3대 이상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허브나 스위치가 필요합니다. 즉, 컴퓨터A에서 컴퓨터B와 연결되는 크로스케이블을 다이렉트 케이블로 바꾼 후 그것을 허브나 스위치에 연결하고 허브나 스위치에 컴퓨터 B와 컴퓨터 C를 연결하면 됩니다. 고정 IP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B와 컴퓨터 CIP 주소는 192.168.0.2에서 192.168.0.254까지 아무 것이나 중복되지 않게 부여하면 됩니다. 그 밖의 프로그램 설정이 다른 것은 없습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공유 방법은 별다른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사용 가능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단점이 있습니다. 바로 컴퓨터B나 컴퓨터C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 컴퓨터A는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포스트를..

덧글 1개 엮인글 쓰기

키친에서 등록한 글입니다.
키친에서 수정해주세요.
키친에서 등록한 글 보기

확인 취소
닫기

이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키친에서 등록한 글은 키친에서 삭제해주세요.
키친에서 등록한 글 보기

확인 취소
닫기

이 포스트를 삭제하시겠습니까?
작성하신 글은 아래의 서비스로 보내신 글입니다.
삭제시 보낸 곳에서도 자동 삭제됩니다.

글 보내기 정보

    확인 취소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