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류꽃
폐경여성은 콩이나 자두를 먹어야 한다." 이는 폐경여성을 위한 식사 10계명에 담긴 내용이다. 부산대의대 산부인과 김원회교수는 대한폐경학회 학술대회에서 폐경여성 식사 10계명을 발표해 주목을 끈다. 첫째는 파이토에스트로겐 고함유식품을 먹어야한다는 것. 파이토에스트로겐은 소화관내에서 세균에 의해 난소에서 분비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되는 호르몬. 따라서 난소기능의 정지로 에스트로겐이 부족한 폐경여성의 건강을 돕게 된다. 콩, 해바라기씨, 양배추, 브로콜리가 파이토에스트로겐 고함유식품들. 둘째 계명은 보론 고함유식품을 먹어야한다는 것. 보론은 붕소와 같은 의미. 보론을 하루 3mg씩 섭취할 경우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가 현저히 증가된다. 보론이 가장 많이 함유된 식품은 자두. 말린 자두 100mg당 25.5mg이나 되는 보론이 들어 있다. 매일 자두 1개씩만 먹어도 에스트로겐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셈. 자두 다음으론 딸기, 복숭아, 양배추, 사과, 아스파라거스, 셀러리, 무화과의 순서로 보론이 많이 들어 있다. 셋째 계명은 하루 1∼1.5g의 칼슘을 매일 먹는 것. 탈지우유 1컵(316mg), 종합비타민제 1알(200mg), 1컵 부피의 시금치나 브로컬리와 같은 녹황색채소(180mg), 요쿠르트 1컵(345mg)씩 매일 섭취하면 1g 이상의 칼슘섭취가 가능하다는 것. 이밖에도 비타민 E가 풍부하게 함유된 식물성 기름 등 항산화 식품을 섭취할 것, 비타민은 일일권장량의 150%를 섭취할 것 등의 항목들이 눈에 띈다. 金교수는 "폐경여성들에게 여성호르몬요법만이 금과옥조로 인식되고 있지만 식사를 통해서도 부족한 에스트로겐을 상당부분 보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생명을 위협하는 골다공증이나 심혈관질환의 예방은 물론 안면홍조, 질건조증과 같은 폐경증후군의 불편함을 극복하기 위해선 식습관부터 바로 잡아야한다는 것이다. 폐경여성 식사 10계명 1,하루 1회 이상 파이토에스트로겐 함유식품을 섭취하라. 2,하루 1회 이상 보론 함유식품을 섭취하라. 3,카페인·탄산음료·알콜을 마시지 말고 물을 많이 마셔라. 4,비타민과 미네랄은 적정권장량의 150%를 섭취하라. 5,음식의 양을 줄이고 특히 저녁은 많이 먹지 마라. 6,우유 등 고칼슘 식사를 하루 최소 2가지 이상 섭취하라. 7,비타민 E 등 항산화식품을 섭취하라. 8,지방은 총열량 섭취량의 20∼25%로 줄여라. 9,하루 20∼30g의 섬유소를 섭취하라. 10,소금과 설탕섭취를 줄여라. |
다른이름: 단약, 금앵, 자류, 안석류
성질은 따뜻하고 맛은 떫고 약간 시다.
주로 단 맛이 많은 것은 식용으로, 신맛이 많은 것은 약으로쓴다. 과일 가운데 성질이 따뜻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근육과 뼈가 아프고, 허리와 다리가 약해서 걷지 못할 때 치료제로 쓴다. 또 구내염, 편도선염에 쓰는데 입안이 헐었을때는 약재를 달인 물로 입 안을 가시고, 석류를 생식하낟. 목이 마르는 것을 치료할 때도 사용한다.
껍질은 떫은 맛이 있어서 남자들의 정력을 강하게 하며, 장내 기생충을 죽이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을 하므로 세균성 이질에 쓴다. 특히 만성설사에는 껍질을 말려 가루를 내서 미음으로 먹는다. 그러나 껍질의 신맛은 위점막을자극할 수 있으므로 위염환자는 먹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석류 껍질을 쓸때는 기름기 있는 음식은 먹지 않도록 해야 한다. 알카로이드가 기름에 풀려 흡수되면 중독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석류꽃은 엽차용으로 사용한다. 장이 편안하게 하는 정장작용을 지니고 있어서 설사를 하거나 변비가 생길 때 효과가 있다.
주요 성분은 석류에는 수분이 약 80%이고, 과즙의 주성분은 당질이 16.7%와 유기산이 1.5%이다. 석류의 반짝이는 붉은 색은 안토시아닌 색소이다.
천식과 백일해에는 껍질에 감초를 조금 넣어 달여 먹고, 감기가 들때는 뿌리 껍질이나 석류 껍질을 달여 먹는다.
나무 껍질과 뿌리 껍질에는 펠레티에린, 이소펠레티에린, 메틸필레티에린 등이 들어있어 촌충의 구충제로 쓰인다. 과일 껍질에는 유산이 들어있다.
ㅇ 먹으면 좋은 체질: 소음인, 태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