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가족 친척 호칭

다람쥐3 2008. 10. 3. 22:16

 

 

 

문화부에서 1990년 10월 하순부터 '화법 표준화' 사업을 전개하여

1991년 말까지「국립국어연구원」과 동 위원회가 협의해서 마련한

주제의 내용을 심의 결정한 가족 및 친척에 대한 호칭이다.

내외간의 호칭) 

<남편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여봐요, 여보, ○○씨 
② 자녀가 있을 때: 여보, ○○아버지 
<아내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여봐요, 여보, ○○씨
② 자녀 있을 때: 여보, ○○엄마(어머니) 
③ 장노년: 여보, 임자, ○○할머니 

시부모에 대한 호칭

① 시아버지에 대한 호칭: 아버님 
② 시어머니에 대한 호칭: 어머님, 어머니 


며느리에 대한 호칭

① 신혼 초: 아가, 새아가 
② 자녀가 있을 때: 어미야, ○○어미야 


사위에 대한 호칭 : 서방, 여보게, ○○이 


처부모에 대한 호칭

① 장인에 대한 호칭: 장인 어른, 아버님 
② 장모에 대한 호칭: 장모님, 어머님 


남편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① 남편의 형(媤叔): 아주버님 
② 남편의 아우(媤同生): 도련님 
③ 남편의 누나(시뉘): 형님 
④ 남편의 누이동생(손아래 시뉘): 아가씨, 아기씨 
⑤ 남편의 형의 아내(손위 同壻): 형님 
⑥ 남편의 아우의 아내(손아래 同壻): 동서 
⑦ 남편의 누나의 남편(손위 시뉘남편): 아주버님, 서방님 
⑧ 남편의 누이동생의 남편(손아래 시뉘남편): 서방님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① 아내의 오빠(妻男): 처남, 형님 
② 아내의 남동생(손아래 妻男): 처남, ○○(이름) 
③ 아내의 언니(妻兄): 처형 
④ 아내의 여동생(妻弟): 처제 
⑤ 아내의 오빠의 부인(妻男의 댁): 아주머니 
⑥ 아내의 남동생의 부인(손아래 妻男의 댁): 처남의 댁 
⑦ 아내의 언니의 남편(손위 同壻): 형님(손위면서 나이도 많은 경우는 합의하에), 동서 
⑧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손아래 同壻): 동서, 서방 

동기와 그 배우자의 호칭

<남자의 경우>
① 형(兄): 형, 형님 
② 형의 아내(兄嫂): 아주머님, 형수님 
③ 남동생:○○(이름), 아우, 동생 
④ 남동생의 아내(弟嫂): 제수씨, 계수씨 
⑤ 누나: 누나, 누님 
⑥ 누나의 남편(妹夫): 매부, 매형(妹兄) 
⑦ 여동생: ○○(이름), 동생, ○○어머니(엄마) 
⑧ 여동생의 남편: 매부, ○서방 
<여자의 경우>
① 오빠: 오빠, 오라버니(님) 
② 오빠의 아내: (새)언니 
③ 남동생: ○○(이름), 동생, ○○아버지(아빠) 
④ 남동생의 아내: 올케, ○○어머니(엄마) 
⑤ 언니: 언니 
⑥ 언니의 남편: 형부(兄夫) 
⑦ 여동생: ○○(이름), 동생, ○○어머니(엄마) 
⑧ 여동생의 남편: ○서방, ○○아버지(아빠)

 
숙질간의 호칭

① 아버지의 형(伯父): 큰아버지 
② 아버지의 형의 아내(伯母): 큰어머니 
③ 아버지의 남동생(叔父): 미혼 - 삼촌, 아저씨, 기혼 - 작은 아버지 
④ 아버지의 동생의 아내(叔母): 작은 어머니 
⑤ 아버지의 누이(姑母): 고모, 아주머니 
⑥ 아버지의 누이의 남편(姑母夫): 고모부 
⑦ 어머니의 남자 형제(外叔): 외삼촌, 아저씨 
⑧ 어머니의 남자 형제의 아내(外叔母): 외숙모, 아주머니 
⑨ 어머니의 자매(姨母): 이모, 아주머니 
⑩ 어머니의 자매의 남편(姨母夫): 이모부, 아저씨 
⑪ 남형제의 아들(姪): 미성년 - 이름,성년 - 조카, ○○아범, ○○아비 
⑫ 남형제의 아들의 배우자(姪婦): (새)아가, ○○어멈, ○○어미 
⑬ 남형제의 딸(姪女): 미성년 - 이름, 성년 - 조카, ○○어멈, ○○어미 


사촌끼리

① 아버지 남형제의 자녀(四寸): 형님, 누님, 동생 
② 아버지 여형제의 자녀(姑從): 고종, 고종사촌, 내종,내종사촌(형님,누님,동생) 
③ 어머니 여형제의 자녀(姨從): 이종, 이종사촌(형님, 누님, 동생)

 
사돈간의 호칭

1) 사돈끼리 
① 바깥사돈끼리 : 사돈 
② 안사돈끼리: 사부인(査夫人), 사돈 
③ 바깥사돈 → 안사돈: 사부인 
④ 안사돈 → 바깥사돈: 사돈어른 
2) 위 항렬에게 - 사장어른 
3) 아래 항렬에게 또는 아래 항렬끼리 
① 남자에게: 사돈, 사돈도령, 사돈총각 
② 여자에게: 사돈, 사돈아가씨, 사돈처녀 

 

 

 

 

조선시대 전통예법대로라면 처가에는 형님이 없었다고 합니다.

 

손아래 처남은 물론이거니와 손윗처남도 그냥 처남입니다.

부름말(호칭어)이든 이름말(지칭어)이든 그냥 '처남'  이었다고 합니다.

 

처형(아내의 언니)의 남편은 동서 입니다.

처제의 남편도 동서 입니다.

호칭어든 지칭어든 동서 입니다.

 

처가촌수는 개촌수라는 지금 듣기에는 거북한 말이 요즘에 생겨난 말이 아니라

옛날부터 있던말인데 지금은 좀 그런 말입니다.

 

사위는 백년손님이라는 말도 있고 - 사위는 그냥 손님이랍디다.

췌객이란 말도 있고 *췌객(贅客): "별 쓸모없는 군더더기 손님"이란 뜻으로 처가에 대해서

동서 등 사위들끼리나 처고모부, 처이모부 등 그집에 장가든 사위처지가 되는 사람들이

자기들끼리 이르는 말.

처가식구들은 사위에 대해 췌객이라고 하지 못함.

 

대부분 여성단체 드라마대본쓰는 여자작가들이 이러한 전통예법을 불합리하다고

주장하면서 손위처남을 형님으로 불러야 하고,

나이가 어리더라 처형의 남편을 형님이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요즘입니다.

 

손윗처남을 자기보다 나이 어리더라도 형님이라 불러야 된다는 말인데

이말도 이상하기는 마찬가집니다.

이것은 아마도 여자가 결혼한 시댁의 손위동서(남편의 형의 아내)를 형님이라

부르던 예법을 현대식으로 변형한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듭니다.

예법에서 평등을 찾고자하시는것 같은데 이부분은 조금은 무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듭니다.

 

드라마작가의 잘못된 예법은 처제에게 말을 놓은 부분에서 극명하게 드러납니다

형수가 시동생 말을 놓으면 이상하듯이

형부가 처제에게 말을 놓는 것은 나이드신 분들이 보시기에는 거북하고 이상하다고 합디다.

 

 

 

 

 

★친족의 호칭표★

미혼의 자녀

혼인한 자녀

호칭어

○○[이름]

(○○)아비(아범),
(○○)어미(어멈),

○○[이름]



가족,친척에게

○○[이름]
[그들이 부르는 대로]

위와 상동

[그들이 부르는 대로]

자녀의 직장사람 들에게

○○○씨, ○(○○)직함(님)

타인에게

(우리) ○○[이름], (우리) 아들, 딸

손자, 손녀(해당자녀의 자녀에게

아버지(아빠, 아비, 아범)
어머니(엄마, 어미, 어멈)

사돈 쪽 사람에게

○○아비(아범), ○○어미(어멈)
[그들이 부르는 대로], ○○[이름]

남편과 아내 사이

남편에 대하여

아내에 대하여

호 칭 어

신혼초

여보, ○○씨, 여봐요[허용]

여보, ○○씨, 여봐요[허용]

자녀가 있을때

여보, ○○아버지, ○○아빠,

여보, ○○엄마, ○○어머니,

장·노년

여보, 영감, ○○할아버지, ○○아버지,

여보, 임자, ○○어머니, ○○엄마,
○○할머니,



남편에게
(아내에게)

당신 ○○씨[신혼초],
영감[장·노년]

당신○○씨[신혼초],
임자[장·노년]

시부모에게
(친부모에게)

아비, 아범, 그이(이이, 저이)

(○○어미(어멈), 그 사람)

아버지의 형과 남동생

아버지의 형

아버지의 남동생

호칭어 및 당사자에 지칭

큰아버지

미혼: 삼촌, 아저씨
기혼: 작은 아버지



말하는 사람의 자녀에게

(지역 이름)큰아버지(님),
종조할아버지(님), 종조부(님), (지역 이름) 할아버지(님),

(지역 이름)작은아버지(님),
(작은)종조할아버지(님), 작은 종조부(님), (지역 이름) 할아버지(님),

당사자의 자녀에게

큰아버지, 아버지(님), 아빠

작은아버지, 아버지(님), 아빠

그 밖의 사람들에게

큰아버지, 백부[아버지의 맏형만]

미혼: 삼촌, 아저씨
기혼: 작은 아버지, 숙부

조카와 그 배우자

여자조카

조카의 남편

호칭어 및 당사자에 지칭

미성년: ○○[이름]
성 년: 조카, ○○어미, ○○어멈, 조카님[시가쪽의 나이 많은 조카]

○서방, ○○아비,
○○아범














조카딸 질녀(姪女)

조카 사위,
질서(姪壻)

누이의
자녀들

생질녀(甥姪女)

생질서(甥姪壻)

시아버지, 시어머니에 대한 호칭어, 지칭어

시아버지

시어머니

호칭어

아버님

어머님, 어머니



시조부모

아버님(아버지)

어머니(님)

시아버지에게

아버님

어머니, 어머니

시어머니에게

아버님

어머니, 어머니

남편에게

아버님

어머니

남편 형의 아내, 남편 아우의 아내

남편 형의 아내

남편 아우의 아내

호칭어

형님

동서



시댁쪽 사람에게

형님

동서

친정쪽 사람에게

큰동서(맏동서), ○○큰어머니

동서, ○○작은어머니

자녀에게

큰어머니(님)

작은어머니(님)

타인에게

큰동서(맏동서), ○○큰어머니

시누이, ○○동서,작은어머니

장인, 장모에 대한 호칭어, 지칭어

장인

장모

호칭어

장인어른, 아버님

장모님, 어머님



장인에게

장인어른, 아버님

장모님, 어머님

장모에게

장인어른, 아버님

장모님, 어머님

아내에게

장인 (어른), 아버님

장모, 장모님, 어머님

부모와 동기에게

장인(어른), ○○외할아버지

장모(님), ○○외할머니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지칭어

아내의 오빠

아내 남동생

아내 언니

아내의 여동생

호칭어

형님, 처남

처남, ○○(이름)

처형

처제



당사자에게

형님, 처남

처남, 자네

처형

처제

아내에게

형님, 처남

처남, ○○(이름)

처형

처제

부모, 동기, 타인에게

처남, ○○외삼촌

처남, ○○외삼촌

처남, ○○이모

처제, ○○이모

장인, 장모에게

형님, 처남

처남, ○○(이름)

처형

처제

◎ 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지칭어

아내의 오빠의 부인

아내의 남동생의 부인

호칭어

아주머니, 처남댁

처남댁



당사자에게

아주머니, 처남댁

처남댁

아내에게

처남댁

처남댁

부모, 동기, 타인에게

처남댁 ○○외숙모

처남댁 ○○외숙모

장인, 장모에게

처남댁

처남댁

아내의 언니의 남편

아내의 여동생의 남편

호칭어

형님, 동서(연하)

동서, ○서방



당사자에게

형님, 동서(연하)

동서, ○서방

아내에게

형님, 동서(연하)

동서, ○서방

부모, 동기, 타인에게

동서 ○○이모부

동서 ○○이모부

장인, 장모에게

형님, 동서(연하)

동서, ○서방

동기 배우자의 동기 및 그 배우자

동기 배우자(형수, 올케 등)의 동기 및 그 배우자

남자

여자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지칭

사돈, 사돈 도령, 사돈 총각

사돈, 사돈 처녀, 사돈 아가씨

당사지 이외의 사람에게 지칭

사돈, 사돈도령, 사돈 총각, [관계말]

사돈, 사돈 처녀, 사돈 아가씨,

[관계말]

◎ 사항이 아래 항렬인 경우

자녀 배우자(며느리, 사위)의 동기 및 조카

동기 배우자 형수, 올케 등)의 조카

남자

여자

호칭어 및 당사자에게 지칭

사돈, 사돈 도령, 사돈 총각

사돈, 사돈 처녀, 사돈 아가씨

당사지 이외의 사람에게 지칭

사돈, 사돈도령, 사돈 총각, [관계말]

사돈, 사돈 처녀, 사돈 아가씨,

[관계말]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남도 함양의 전설  (0) 2010.01.10
촌수 계보도 ,가족호칭  (0) 2008.10.03
매미  (0) 2008.08.23
매미 여름  (0) 2008.08.23
매미 누구을 위해 울고 있나?  (0) 2008.08.23